한국다이요잉크에서 공급하는 제품입니다.

일본 시꼬꾸 사 제품이라는 것 같은데..

 

285nm 파장에서 측정합니다.

1. 막두께 측정

두께= 0.105 x A1(최대흡광도) x V(표준액 첨가량,ml)/S(측정면적 ㎡)

 

2. 유효성분농도

 시료액을 표준액으로 250배 희석 ( F2LX액 0.2ml :표준액 49.8ml)

 C(농도) = 104 x A2 (최대흡광도)

 

'응용분야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 coat 측정  (0) 2008.03.20
관련시장  (0) 2008.03.20

 ■ Cu Coat VII 의 유효성분 농도 측정방법

  1.사용중인 Cu Coat VII 액 1ml를 피펫으로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채취합니다.

  2. 플라스크의 눈금선 (250ml)까지 이온 교환수를 넣고 뚜껑을 닫아 흔들어서 희석 혼합합니다.

  3. 희석 혼합한 액을 석영 유리 셀에 넣고 자외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증류수(또는 이온교환수)를 대칭으로 269~271nm 부근의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값을 A 라고 하고, 300nm 의 흡광도를 측정한 후 이 수치를 B라고 합니다.

  4. Cu Coat VII 의 유효성분 농도 (%) = 180  X  (A-B)

 

■ Cu Coat VII 의 막 두께 측정방법

 1. 10 ㎠ 의 동박적층판 (면적 2 X 2.5 cm)을 세정하고 활성화합니다.

 2. Cu Coat VII를 처리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합니다.

 3. 시편을 100ml 비이커에 넣고 0.5% 염산수용액 25ml 를 정확히 피펫으로 채취하여 비이커에 추가합니다.

 4. 3~5분간 비이커를 흔들어 Cu Coat VII 피막을 용해시킵니다.

 5.  용해된 액을 석영 유리셀에 넣고 자외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0.5% 염산 수용액을 대칭으로 269 ~271 nm 부근의 최대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C라고 합니다.

 6. 막두께 (㎛) = 0.70 x C

'응용분야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icoat-SMD F 2LX  (0) 2008.03.21
관련시장  (0) 2008.03.20

OSP(유기보호피막)는 PCB의 표면 처리제품으로 기존의 HSAL 처리 기법을 대체하기 위하여 도입된 표면 처리 제품중 한가지이다.이외에 금도금이나 Sn도금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최근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 유럽연합(EU)과 미국등 선진국들이 납,할로겐등 유해물질이 함유된 제품에 대해 수입규제에 나선 상황이어서 관련 업계에서는 필요한 공정중 하나입니다. OSP로 표면처리되어 형성된 피막은 외부의 공기,특히 습기로부터 銅 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Reflow 및 접착제의 경화와 같은 고습환경에서도 동 표면의 보호역할을 합니다.

 

OSP의 막두께,유효성분은 분광광도계(자외선)로 측정합니다.

대부분의 회사제품들이 Osp의 기본 성분으로 Alkylbenzimidazole 유도체로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피막의 두께가 0.2 ~ 0.45um이고 유기물 성분이어서 물성측정장비로는 측정이 힘들고 데이터에 대한 안정성도 떨어집니다.

이 성분의 측정 파장은 제품별로 다르지만 보통 270~290nm에서 측정합니다. 측정할 때는 막두께와 유효성분을 주로 측정합니다.

 

제조-공급회사, 제품명

1. 위즈코트(www.wizcoat.com) - 삼화연구소(일본),Cu coat

2. 아트켐                                 - 엔손(미국) ,

3. 한국다이요잉크                     - ? , Glicoat

4. 아이티엠씨(국산)

5. 기타

 

 

 

 

'응용분야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icoat-SMD F 2LX  (0) 2008.03.21
Cu coat 측정  (0) 2008.03.20

+ Recent posts